대왕판다
ESTP 하고재비로 살아가기
대왕판다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일상
      • 먹고재비
      • 생각대로
    • 개발
      • html css
      • 자바
      • 자바스크립트
      • 파이썬
      • 알고리즘
      • 북TIL
      • 네트워크
      • 객체지향개발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리액트
  • 맛집
  • 상길북
  • 노마드코더
  • 브루트포스
  • 양산맛집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css
  • 노개북
  • 백준
  • 파이썬
  • 자바
  • 양산
  • 클론코딩
  • 코딩
  • 챌린지
  • 마이바티스
  • 알고리즘
  • 타입스크립트
  • html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대왕판다

ESTP 하고재비로 살아가기

TCP/IP 4계층과 OSI 7계층, 전송 계층의 handshake
개발/네트워크

TCP/IP 4계층과 OSI 7계층, 전송 계층의 handshake

2023. 5. 3. 09:33

기본용어

  • 네트워크 토폴로지: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, 또는 논리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묘사하는 방식
  • 트래픽 (Traffic):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양. 트래픽은 인터넷 사용자의 수, 웹 사이트의 인기도, 서비스의 사용량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.
  • 대역폭 (Bandwidth): 네트워크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(초당 전송 속도) 일반적으로 초당 비트(bit) 또는 바이트(Byte) 단위로 측정 (배관의 파이프 크기)
  • 처리량 (Throughput): 네트워크에서 초당 실제로 처리되는 패킷의 양을 나타내는 실용적인 지표 (실제 파이프 속 흐르는 물의 양)

 

전송계층의 3-way handshake (연결 수립)

4-way handshake (연결 해제)

  • FIN → 더 이상 보낸 데이터가 없음을 의미
  1. Graceful connection release(정상적인 연결 해제)
  2. 정상적인 연결 해제에서는 양쪽이 커넥션이 서로 모두 커넥션을 닫을 때까지 연결되어 있다.
  3. Abrupt connection release(갑작스런 연결 해제)
    1. 갑자기 한 TCP 엔티티가 연결을 강제로 닫는 경우
      • RST 패킷 수신, 타임아웃, 지속적인 재전송 실패, ICMP 에러 메시지
    2. 한 사용자가 두 데이터 전송 방향을 모두 닫는 경우

 

 

OSI 7계층

  1.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:
    •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 특정 홈페이지를 요청 이 때, HTTP 프로토콜이 사용되며,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합니다. 이 요청 메시지는 메소드(GET, POST 등), URI, 프로토콜 버전, 헤더 정보 및 본문 데이터(예: JSON)를 포함합니다.
    •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,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합니다. 이 응답 메시지는 상태 코드(예: 200 OK), 프로토콜 버전, 헤더 정보 및 본문 데이터(예: JSON)를 포함합니다.
  2.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: 표현 계층은 데이터 형식을 처리하고, 필요한 경우 암호화/복호화를 수행합니다. JSON과 같은 형식의 데이터는 이 계층에서 처리됩니다.
  3.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: 세션 계층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관리합니다. 즉, 세션을 생성, 유지 및 종료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
  4.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:
    • 전송 계층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관리하며, 일반적으로 TC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세그먼트로 나누어지고, 각 세그먼트는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전송 계층에서 추적 및 관리됩니다.
    • 흐름 제어와 오류 처리를 담당하며, 필요한 경우 세그먼트의 재전송을 수행합니다.
  5.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: 네트워크 계층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합니다. 이 계층에서는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, 라우팅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  6.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: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되는 비트를 프레임으로 구성하고, 에러 검출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합니다. 이 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  7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: 물리 계층에서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비트를 실제로 전송합니다. 케이블, 무선 신호, 광섬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됩니다.

'개발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TP 통신의 이해  (0) 2023.01.06
[네트워크] IP 주소와 서브네팅  (0) 2022.07.29
    '개발/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HTTP 통신의 이해
    • [네트워크] IP 주소와 서브네팅
    대왕판다
    대왕판다
    let's learn and roll!

    티스토리툴바